리더의 공유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학습지향성의 매개효과와 폐기학습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The Impact of Leader' Shared Leadership on Innovation Behavior for Employees: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Unlearning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18 No.6
-
2018.01574 - 599 (26 pages)
- 7
본 연구는 기업에 근무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리더의 공유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대한 인식에서 학습지향성과 폐기학습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리더의 공유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국내 중소기업에서 지식근로자로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중 총 387개를 SPSS 24.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통계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리더의 공유리더십과 혁신행동, 공유리더십과 학습지향성 그리고 학습지향성과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습지향성은 공유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으며, 폐기학습은 공유리더십과 학습지향성의 관계를 강화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 스스로가 적극적인 폐기학습과 학습지향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강화 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구성원과 조직에 대한 리더의 공유리더십이 더욱 중요하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shared leadership of leader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learning orientation and unlearning on the recognition of leader's shared leadership and employe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mployees who work as knowledge workers in the domestic SMEs. A total of 38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using SPSS 24.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a leader's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on behavior, shared leadership and learning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behavior were positive. In addition, learning orientation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on behavior, and unlearning reinforc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learning orient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employees themselves need continuous reinforcement activities for active unlearning and learning orient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innovation behavior of the employees. In addition, the shared leadership of leaders in employees and organization is more importan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