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한국 간호사의 피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사들의 피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4개의 대학병원 30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피로도구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을 토대로 구성된 문항들은 내용 타당도를 거친 후 1차 확인요인분석, 2차 확인요인분석 결과 육체적 피로, 정신적 피로, 정서적 피로 세 영역, 23문항으로 수정되었다. 2차 확인요인분석 결과 적합도는 ${\chi}^2(p)=956.12$(p<.001), RMSEA= .08, GFI = .87, AGFI = .84, NFI = .91, and CFI = .93.로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피로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어 한국 간호사의 피로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We sought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tool for measuring and understanding nurse fatigue. The participants were 301 nurses working in four hospitals in Seoul, South Korea. Basic items were developed after a preliminary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a group of experts. The first 52 items from which the fatigue measurement tool was to be developed were tested for construct validity and were reduced via factor analysis to 31 items. Follow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items were further reduced to 23 items in three categorie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nd the items to be adequate. The fatigue scale was found to have high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scale is expected to serve as a preliminary data-gathering tool to assess the level of nurse fatigue and to develop interventions to alleviate i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