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학습자의 컴퓨터 문제해결 선호방법 분석

Analysis of Learners' Preferences for Computer Solving Methods

  • 0
커버이미지 없음

성공적인 학습 성과를 위해 동료 학습자간의 상호 협력 및 도움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학생들은 점점 혼자 해결하려는 경향이 나타나므로 학생들의 컴퓨터 문제해결 선호 방법 및 상호 관계성 등을 조사하여 이에 관한 학생들의 생각을 파악하고 학생들에게 알맞은 실습지도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K교육대학교 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사용 중 어려움을 겪을 때 선호하는 해결 방법 및 학생들 상호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컴퓨터 사용 중 어려움 발생정도가 적을수록 컴퓨터 활용능력이 높을수록 학년이 올라갈수록 스스로 해결하는 방법을 선호하였다. 그리고 가족 및 친척 등 친밀도가 높은 혈연관계에게 직접 물어보는 방법과 인터넷을 활용하여 스스로 해결하는 방법에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학과동기생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학과 안에서 컴퓨터 문제해결 관계망을 파악할 수 있어 동료 학습자 선정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개인별 맞춤형 컴퓨터 교육실습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Collaboration and assistance among peer learners are essential factors for successful learning outcom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students' preferences for computer problem solving methods and interrelationships, since students tend to solve problems more and more by themselves. This is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giving appropriate instructions to students. In this context, this paper shows the analysis of the preferred methods and interrelationships of studnets' preferences upon encountering difficulties during computer usage by collecting data from 231 students in K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s a result,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tend to solve problems without asking as they have higher abilities in computer usage, which was also shown to increase along with their grade levels. Furthermore, it showed that students who have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and who are using the internet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problem solving. Lastl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omputer problem solving network within the department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o it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selecting the peer learners, which will help to operate the customized computer education practic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