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수용 모델을 활용한 스마트워치 확산 결정요인 분석
Exploring Determinants of Smartwatch Diffusion Using a Value Adoption Model
- 한국기술혁신학회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Vol.21 No.2
-
2018.01684 - 714 (31 pages)
- 0
스마트워치의 확산이 예상과는 달리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워치 공급업체들은 현재의 캐즘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스마트워치의 어떠한 속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시장 확산을 이루어야 하는가를 타당하게 수행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가 가져다줄 것으로 예상되는 혜택과 이를 위해 치러야 할 비용을 소비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시장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23개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하여 구조 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워치의 두 가지 혜택(utilitarian and hedonic)과 세 가지 비용(usability, performance, and finance)이 가치인식을 통해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가치인식과 사용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목할 점은, 소비자들이 스마트워치가 사회적 혜택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할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었다는 점이다. 즉, 스마트워치 사용이 소비자에게 이미지 향상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전략은 스마트워치 확산에 큰 기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스마트워치의 시장 확산을 이루기 위해서는 혁신성향이 높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혜택을 활용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Contrary to predictions, the market diffusion of smartwatch is proceeding slowly. Smartwatch companies should pursue new strategies to overcome this so-called chasm;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smartwatch attributes valuable for target consumers. This study investigates beneficial and sacrificial features influencing overall perceived value of smartwatch, which in turn affects usage intention, and considers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A total of 323 usable data were analys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The results show that two benefits (utilitarian and hedonic) and three sacrifices (usability, performance, and finance) significantly impact on usage intention via perceived value. A significant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as a moderator is also observed. Interestingly, the influence of social benefits on perceived value is not supported, which means strengthening image improvement strategies might not be appropriate for the diffusion. In order to overcome the chasm, suitable strategies should be used, and focusing on consumers who are highly innovative are strongly recommend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