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결정성동기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ue to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 16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결정성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C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7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지를 제외한 251명의 설문지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인관계 유능성(r=.361, p<.001)과 자기결정성동기(r=.466, p<.001)는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결정성동기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r=.091, p=.148).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결정성동기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38.7%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된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결정성동기를 강화시키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관련요인들을 분석하여 요인들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교육법 개발을 위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descriptive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nvergent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ed from 251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C province from June, 2018 to July, 2018 a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As a result,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r=.361, p<.001)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r=.466, p<.001) and self-regulated-learning-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have not meaningful relationship(r=.091, p=.148). It is turned out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re influence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on the developing new educational methods through convergence of factors by analyzing relevant factors to enha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at affec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