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maternal family-of-origin experiences :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value of children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3세-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47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경험, 양육태도, 자녀가치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가족 경험은 자녀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어머니의 자녀가치 역시 양육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가족 경험은 양육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녀가치는 원가족 경험과 양육태도 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가족 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긍정적 자녀가치를 갖게되고, 자녀가치는 곧 양육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긍정적 자녀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다각적 방안과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공동양육자인 아버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ed effect of value of children with a purpose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maternal family-of-origin. A group of 247 mothers having young children in the age of 3 to 5 years participated in a survey which is consisted of the scale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parenting attitude and value of children. The study results show four aspects: First, family-of-origin experiences have positive effect on value of children. Second, maternal value of children also appears to be positive on parenting attitude. Third, family-of-origin experiences have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Lastly, value of children shows mediated effect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 and parenting attitude. In other words, having high level of positive awareness in family-of-origin experiences brings positive value of children, and the value of children brings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Therefore, multilateral measures and methodical supports are needed to develop positive value of children, and consideration on father is required as a joint partner of rearing childre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