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기반과 문제해결 기반 융합 학습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교수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English Teaching Method by Convergence of Project-based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for English Communication
- 한국융합학회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Vol.10 No.2
-
2019.0183 - 88 (6 pages)
- 6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 해결 기술, 커뮤니케이션 기술, 비판적 사고 기술 및 협력의 개발을 위한 학생 중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창의적 성격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프로젝트와 문제해결 기반 학습 이후 영어 커뮤니케이션 향상 측정을 위해 ETS(교육 테스트 서비스)가 발행한 토익 말하기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고 측정의 신뢰성은 be ${\alpha}=.84$으로 나타났다. 독립 표본 t-검사 및 유의 수준 5%에서 SPSS 18.0이 사용 및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독립성'의 경우 실험 그룹의 시험 후 평균이 유의 수준(p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개방성'(실험군 M = 3.24, 통제군 M = 2.73)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토익시험 결과, 실험군 평균은 200명 중 $132{\pm}18.7$명, 대조군 평균은 $127{\pm}08.2$명이었다. 영어 수업에 프로젝트, 문제해결 기반 융합 학습을 적용하는 실험군과 통제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대학 강의실에서 프로젝트, 문제해결 기반 융합 학습을 적용하는 것은 창의적 성격 하위 차원들 사이의 독립성과 개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tudent-centered project-based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communication skills,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cooperation. A college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test was used and pre-and post-test were performed. and TOEIC Speaking practice test by Educational Testing Service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The SPSS 18.0 was used and validat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n the case of 'independence', the post-test averag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t level (p<.01), which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M=127{\pm}08.2$)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M=132{\pm}18.7$) applying project-based and problem-based convergent learning to English class were positively chang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