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지체장애인 배우자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The Autoethnography Study on the My Partner with Physical Disabilities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나 자신과 나와 함께 하는 지체장애를 갖고 있는 배우자(disable partner)와의 생활에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삶을 자서전(auto biography)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이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연구자 자신에 대한 내러티브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첫 번째 시기, '영원할 것 같았던 싱글라이프'의 시기로 정의하였다. 두 번째 시기는 '성모의 마을'이라는 장애인시설의 만남으로 장애인과의 생활 속에서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약속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 시기는 지체장애인 배우자와의 만남과 그와의 생활의 시기이다. 마지막 시기로 지체장애인 배우자에 대한 이해와 노력의 시기이다. 질적연구는 사회적 또는 인간의 문제를 탐구하는 독특한 방법론적 연구전통에 기반하여 이해해야 하는 연구과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복합적이고 전체적인 그림을 구축 및 보고하고, 이러한 과정들이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분석적이며 체계적인 연구로의 확장을 기대한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study self-cultural skills about my experience in life with a spouse with a physical disability with myself. The 'autoethnography' is a combination of an autobiography describing a personal and subjective life and a ethnography that studies the culture of a social group, and it is a way of expressing self-narrative experiences and experiences related to the context or context of a social group.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searcher divided into three periods, one for the researcher himself, and defined the first for 'the single life that seemed to last forever'. The second period was the meeting of the disabled facility called 'The Village of the Virgin Mary'. The Third period is the time of meeting with the disabled partner and the life with him, and it is the time to experience a spouse with a rather sensitive disability. Last, it's the time of understanding and effort for my physical disability partner. Qualitative research is a research process that must be understood based on a unique methodological research tradition that explores social or human problems. And, we expect to expand into more analytical and systematic research in future research.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