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리더십, 조직신뢰, 직무성과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Relevant to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Performance
- 한국융합학회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Vol.10 No.7
-
2019.01183 - 189 (7 pages)
- 0
현대 기업경영 환경의 수평적 구조화로의 변화는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역량을 넘어, 기업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팀이나 조직 전체가 책임과 목적을 공유하고, 긍정적인 상호영향력을 높이기 위한 공동의 노력과 협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 개인(리더)에게 집중화된 구조보다는 여러 구성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집합적인 리더십을 지향하는 조직 구조가 더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공유리더십과 조직신뢰 그리고 직무성과에 대한 인과관계 및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공유리더십은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신뢰는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에 대한 신뢰가 높으면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아직 연구가 많이 되지 않은 공유리더십과 기존의 리더십 유형들과의 차별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change to the horizontal structure of the modern corporate management environment requires joint efforts and cooperation to share responsibility and purpose and to increase positive mutual influence in order to achieve the corporate goal beyond the individual capacit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in which various members share information and aim at collective leadership is more effective than the structure concentrated on one individual (leader).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hared leadership, an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nd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hared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s means that high trust in organ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existing leadership types that have not been studied ye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