칫솔에 대한 특허 융합분석
An convergence analysis of patent toothbrush
- 한국융합학회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Vol.10 No.7
-
2019.0155 - 62 (8 pages)
- 0
본 연구는 구강건강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칫솔을 특허검색이 가능한 KIPRIS에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등록된 칫솔에 대한 467개의 특허정보를 분석하였다. 칫솔구성을 기준으로 8개로 대분류 하였고, 세부정보를 소분류 하였다. 연간 특허수량을 분석하기 위해 출원연도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특허가 가장 많은 것은 칫솔모에 대한 특허였으며 뒤이어 칫솔 외 기능추가 특허, 전동칫솔 특허, 칫솔헤드에 대한 다른 형태로의 칫솔 특허, 칫솔목에 대한 특허, 칫솔질 습관 교정에 대한 특허, 칫솔 핸들에 대한 특허 순이었다. 다양한 소분류의 특허는 칫솔 외 기능 추가 특허였으며 2012년 칫솔모에 대한 특허건이 25개로 제일 많았으며, 2017년 소폭 감소하는 칫솔특허 대비 유일하게 증가하고 있는 특허는 칫솔질 습관 교정에 대한 특허와 칫솔 핸들에 대한 특허였다. 2009년부터는 칫솔에 대한 특허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다양해진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467patent for toothbrush that used for oral hearlth, registered for 10years from 2008 to 2017 at KIPRIS which can search patent. Based on the toothbush composition, 8categories were detailed information was subdivided. As a result showed that the most patents were patent for toothbrush bristle, patent for additional function, patent for electronic toothbrush, patent for toothbrush's head, patent for toothbrush in different form, patent for toothbrush's neck, patent for learning of brushing habits, patent for toothbrush's handle. The patent that has a variety of the section was a patent for additional function, the patent for toothbrush bristle was the highest that is 25 in 2012. The only increasing number of patents compared to toothbrush patents, which are decreasing slightly in 2017, was the Patent for learning of brushing habits and the patent for toothbrush's handle. As a result, from 2009, the number of patents for toothbrushes has increased and vari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