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경영자 휴브리스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기업지배구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hief Executive Officer Hubri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Korea: Moderating Role of Corporate Governance
- 한국산업정보학회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 Vol.24 No.1
-
2019.0181 - 94 (14 pages)
- 0
한국사회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산업 규범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이에 대한 제도적 압력에 순응하여 CSR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휴브리스와 같은 최고경영자(CEO)의 특성과 사외이사, 외국인 지분률과 같은 기업지배구조 장치가 CSR에 대한 규범을 받아들이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한다. 휴브리스를 지닌 경영자는 제도적 압력에 순응하지 않으며, 산업 규범에 대한 순종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휴브리스를 지닌 경영자는 타 기업들의 평균적인 즉, 규범화된 수준이 아닌 더 높거나 낮은 수준의 CSR 활동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경영상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업지배구조는 경영자가 규범화된 수준의 CSR 활동을 유지하도록 CEO를 통제할 것이다. 또한, 기업지배구조 장치는 기업 경영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려진 CEO 휴브리스가 경영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배구조가 강화될수록, CEO 휴브리스가 기업의 CSR 활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것이다.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come an industry norm, and the majority of companies have adopt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due to institutional pressure. This paper suggests that chief executive officer (CEO) characteristics and governance mechanisms such as CEOs hubris, outside directors, and foreign ownership can influence a managerial decision of following the norm in adopting CSR. This paper argues that a CEO with hubris carry out CSR considerably less or more than a CEO without hubris because a CEO with hubris are known to have a tendency to refuse to follow the norm from institutional pressure. On the contrary,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can guide a CEO to follow the industrial norm related to CSR because governance mechanisms tend to control CEO to reduce managerial uncertainty. The results show that CEO with hubri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CSR deviation while governance mechanisms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In addition, governance mechanisms nega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with hubris and with the degree of CSR deviat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