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생태계서비스 번들을 이용한 경기도 도시의 유형화

Categorization of Citiesin Gyeonggi-do Using Ecosystem Service Bundles

  • 0
커버이미지 없음

생태계서비스의 개념은 지역의 생태자원을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중요하다. 지역 생태계가 동시에 제공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는 생태계서비스 번들로 표현된다. 생태계서비스 번들은 지역 생태계서비스 특성을 파악하고, 유사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들을 그룹화하여 지역 생태계서비스 관리정책을 용이하게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도시들을 대상으로 11개 생태계서비스 항목들을 모형과 통계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시군별 생태계서비스 번들을 제작하였다. 또한 생태계서비스 평가결과에 대한 주성분분석과 클러스터분석을 수행하여 경기도 시군들을 유형화하였다. 연구결과 경기도 도시들의 생태계서비스는 조절, 문화, 공급서비스 유형들로 분류되며 각각의 유형들은 지역특성에 따라서 도시형, 도시산림형, 농촌형, 산림형으로 구분되었다. 각각의 유형들은 지역의 인문사회 및 자연환경 특성을 반영하는 토지이용과 연관되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 생태계서비스 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지역 생태계서비스 관리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is important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gional ecological resources. Multiple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regional ecosystems are represented as ecosystem service bundles, which define the co-occurrent ecosystem services in a specific region. Bundl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identify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services and categorize sub-regions with similar patterns of ecosystem service provision. We assessed eleven ecosystem services using modeling approaches and statistical data and produced bundles of cities in Gyeonggi-do.We also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o categorize these c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servi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ities in Gyeonggi-do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types of provision,regulation, and cultural services, and were designated as urbanized, urban-forest, agriculture, or forest cities. These groups were influenced by land use patterns reflecting regional social-environmental features. Th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identifying regional ecosystem services and facilitate decision-making in regional ecosystem service managemen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