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과 유전학적 데이터를 이용한 한국에서 2014년 발생한 H5N8 조류독감 전염경로의 유추
Inferring transmission routes of avian influenza during the H5N8 outbreak of South Korea in 2014 using epidemiological and genetic data
- 한국미생물학회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Vol.54 No.3
-
2018.01254 - 265 (12 pages)
- 0
최근 양계업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조류독감은 한국에서 수천억원의 거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였다. 병원균의 전염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면 막대한 손해를 끼치는 생물학적 피해의 확산을 막고 일부 지역으로 제한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병원균 DNA 서열의 계통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감염된 숙주들을 방향성이 있는 연결선으로 연관짓는 전염 계통수를 얻을 수 있다. 지난 10여년간 유전적 데이터뿐만 아니라 역학 데이터를 이용한 전염 계통수 추론의 방법론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염 계통수 추론 방법을 이용하여 지난 2014년 한국에 발병한 고병원성 조류독감 H5N8에서 유래한 DNA 서열을 재분석하였다. 당시, H5N8 바이러스는 전라북도에서 시작하여 지역적으로 접해있는 4개의 지역으로 확산되어 나갔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염 계통수를 추론하는 베이지언 통계 방법인 Markov chain Monte Carlo를 반복적으로 시행하고 이를 종합하여 철새 외래종과 국내종 조류 숙주들의 전염 계통수를 추정하였다. 비록 연결선의 불확실성은 높았으나 추정된 전염 계통수를 통하여 당시 H5N8 바이러스는 전라북도에서 시작하고 충청남도를 거쳐 경기도로 퍼져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육하는 오리와 같은 국내종 조류는 전염 계통수의 말단 노드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야생 철새종이 2014년 한국의 H5N8 조류독감의 감염 매개자로 주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Avian influenza recently damaged the poultry industry, which suffered a huge economic loss reaching billions of U.S. dollars in South Korea. Transmission routes of the pathogens would help plan to control and limit the spread of the devastating biological tragedy. Phylogenetic analyses of pathogen's DNA sequences could sketch transmission trees relating hosts with directed edges. The last decade has seen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inferring transmission trees using epidemiological as well as genetic data. Here, I reanalyzed the DNA sequence data that had originated in the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8 outbreak of South Korea in 2014. The H5N8 viruses spread geographically contiguously from the origin of the outbreak, Jeonbuk. The Jeonbuk origin viruses were known to spread to four provinces neighboring Jeonbuk. I estimated the transmission tree of the host domestic and migratory wild birds after combining multiple runs of Markov chain Monte Carlo using a Bayesian method for inferring transmission trees. The estimated transmission tree, albeit with a rather large uncertainty in the directed edges, showed that the viruses spread from Jeonbuk through Chungnam to Gyeonggi. Domestic birds of breeder or broiler ducks were estimated to appear to be at the terminal nodes of the transmission tree. This observation confirmed that migratory wild bird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one of the main infection mediators in the avian influenza H5N8 outbreak of South Korea in 2014.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