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례분석을 통한 나이지리아 국가 혁신 시스템 개선 방안 고찰
A Study on the Readjustment of the Nigerian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rough Korean Case Analysis
- 한국기술혁신학회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Vol.21 No.4
-
2018.011237 - 1267 (31 pages)
- 0
한국은 1945년 광복 후 개발도상국의 단계를 거쳐 선진국의 대열에 이르기 까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가져왔지만, 한국보다 15년 뒤인 1960년에 독립한 나이지리아는 매우 풍부한 자연자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빈곤을 극복하지 못한 개발도상국의 위치에서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국가혁신체제와 경제개발계획이 경제발전에 끼친 영향을 고찰하여 개발도상국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 경제개발계획의 핵심적 성공요인은 구성요소간 유기적 커뮤니케이션, 지식 교환 및 국가혁신체제의 지속적 개선이었다. 특히 경제발전 관점에서 단계별 국가혁신체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혁신체제관점에서의 발전경로를 기반으로 "multiple skipping"을 제안하고, 현재 나이지리아의 상황과 국가 수준의 지향점을 고려할 때 이를 통한 국가 발전을 계획하는 것이 보다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After independence in 1945, the South Korean economy rose steadily from a developing country to a developed country while, after independence in 1960, Nigeria is still a developing country with poverty on the increase, despite its large amount of natural resources. This research seeks to find a viable solution to this issue while studying the relationship that exist amongst Economic Development Plans (EDPs), National Innovation System (NIS) an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 methodology used herein is a mixture of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DPs are essential to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nd the flow of knowledge and innovation of the NIS. Furthermore, our result shows that the efficiency of the NIS is relevant to drive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Therefore, based on our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in Nigeria and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Korea, we developed, introduced and recommended a theoretical framework called the "Multiple skipping" development trajectory as a model for development in Nigeria.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