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엉겅퀴, 정영엉겅퀴 및 동래엉겅퀴의 분류학적 실체 검토
Taxonomic Identities of Cirsium setidens, C. chanroenicum and C. toraiense
- 한국식물분류학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Vol.35 No.4
-
2005.01227 - 245 (19 pages)
- 0
엉겅퀴속의 한국 특산종으로 인식되어온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와 정영엉겅퀴 (Cirsium chanroenicum) 그리고 동래엉겅퀴 (Cirsium toraiense)를 대상으로 분류군의 한계와 그 실체를 명확히 밝히고자 외부 형태학적 형질을 중심으로 수리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려엉겅퀴와 정영엉겅퀴는 주요 식별형질인 잎, 화서 및 총포에 관한 29개의 외부 형태학적 형질과 잎에 관한 12개의 주요 식별형질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거의 구별이 되지 않는 하나의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한국 특산종인 정영엉겅퀴는 고려엉겅퀴에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또한 동래엉겅퀴는 원기재문에 의한 생육지 조사, 기준표본과 표본관 소장 석엽표본 조사 등의 결과,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없었다.
Numerical analysis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s was done in order to clarify taxonomic circumscriptions and identities of Korean endemic, Cirsium setidens (Dunn) Nakai, Cirsium chanroenicum Nakai, and Cirsium toraiense Nakai ex Kitam..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of C. setidens and C. chanroenicum using 29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12 leaves characters revealed one group which could not separate. Identity of C. toraiense could not be confirmed by the destruction of habitat, similarity of morphological diagnostic characters between many specimens identified C. toraiense including type specimen and C. japonicum var. ussuriense. In considering the variational pattern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identities of C. setidens f. alba, C. setidens var. niveo-araneum, and C setidens var. pinnatifolium should be recognized, but C. chanroenicum var. lanceolata should be included to circumscription of C. setiden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