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Waxy와 atpB-rbcL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Coryloideae의 계통 유연관계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Coryloideae based on waxy and atpB-rbcL sequences

  • 0
커버이미지 없음

Coryloideae 35집단에 대한 계통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핵 DNA의 waxy 유전자와 엽록체 DNA의 atpB-rbcL intergenic spacer 지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Waxy 유전자 분석에서 Coryloideae의 4개 속은 단계통군을 형성하였으며, 개암나무속은 단계통군을 형성하면서 군내군의 가장 기부에 분계조(clade)를 형성하였다. Ostryopsis속은 서어나무속과 새우나무속을 위한 자매군을 형성하였으며, 새우나무속 역시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BS=86, PP=99). AtpB-rbcL 분석에서는 Ostryopsis속이 아과 내에서 가장 기부에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개암나무속은 서어나무속-새우나무속과 Ostryopsis속의 중간에 위치하였고(BS=98, PP=100), 서어나무속은 새우나무속 분류군들과 함께 높은 지지도(BS=100, PP=100)를 가지고 하나의 clade를 형성하였다. Waxy 유전자 분석에서 서어나무속의 Carpinus절은 단계통을 형성하였지만 Distegocarpus절은 병계원군(paraphyletic group)으로 나타났다. 개암나무속의 경우는 2개의 subclade를 형성하였지만 속내 절 또는 아절 등의 분류계급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AtpB-rbcL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분류군들이 각각의 clade내에서 polytomy를 형성하여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두 유전자의 계통분석 결과가 뚜렷하게 불일치하였고, 특히 Ostryopsis속의 위치와 새우나무속의 단계통 여부, 그리고 서어나무속과 새우나무속의 유연관계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hylogenetic studies were conducted for 35 populations of the subfamily Coryloideae (Betulaceae) based on waxy gene of nuclear DNA and atpB-rbcL intergenic spacer region of chloroplast DNA. Waxy data analysis suggest that Coryloideae is monophyletic; Corylus is monophyletic and basally branching within the subfamily Coryloideae; Ostryopsis is sister to the Carpinus and Ostrya clade, and the Ostrya is monophyletic (BS=86, PP=99). AtpB-rbcL intergenic spacer region analysis shows that Ostryopsis appeared as the most basal clade within the Coryloideae; Corylus is monophyletic(BS=98, PP=100) and placed between Carpinus-Ostrya and Ostryopsis clade; Carpinus and Ostrya formed a clade with a high support value(BS=100, PP=100). Carpinus sect. Carpinus is monophyletic, whereas sect. Distegocarpus is paraphyletic in the waxy tree. Corylus formed two subclades, but discordance at the infrageneric classification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In the atpB-rbcL tree, Carpinus and Corylus taxa form a polytomy within the each clade. Results from the two data sets differ mainly in the relative position of Ostryopsis, the monophyly of Ostrya, and the relationships within the Carpinus-Ostrya clade.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clarify the taxonomic position and the generic limitat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