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속(Quercus L.) 식물 잎의 큐티클 미세형태의 분류학적 의미
Cuticle micromorphology of leaves of Quercus L. (Fagaceae) and its taxonomic implications
- 한국식물분류학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Vol.38 No.4
-
2008.01405 - 431 (27 pages)
- 0
참나무속의 22종과 외군의 큐티클 미세형질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22종은 참나무속의 모든 절에서 각각 2-3종을 선정하였고, 외군은 Trigonobalanus 속과 Alnus 속에서 선정하였다. 10개의 큐티클 내부형질과 8개의 큐티클 외부형질을 관찰, 기재하였다. 돌기물의 유무, 배축면 수층벽의 형태, 부세포의 배열 형태 및 수층벽의 형태, 왁스층의 발달 정도가 속내 분류에 유용한 형질로 나타났다. 18개의 형질을 이용한 분지분석에서는 66 step의 tree length를 가지는 72개의 최대절약계통수를 얻었다. 분지분석결과 Cyclobalanopsis 아속과 Quercus 아속은 각각 75% bootstrap value와 57% bootstrap value로 지지되었다. 큐티클 미세형질에 기초한 참나무속의 분류에서는 Camus가 제안한 아속간의 분류체계를 지지하였다. 그러나 Erythrobalanus 절과 Cerris 절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였고, Lepidobalanus 절이 다분지를 형성하여 절간 유연관계는 알 수 없었다. 그러므로 참나무속의 절간 분류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uticle micromorphology of 22 species of Quercus and outgroup were examined by the SEM. Twenty-two species selected each two or three species in all section of the genus Quercus. The genus Trigonobalanus and Alnus are selected as outgroups. Ten characters of the inner surface and eight character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uticle have been described. Some characters, such as the present of papillae, arrangement of subsidiary cell, shape of anticlinal cell wall are considered important character for infrageneric classification. A parsimony analysis of 18 characters resulted in 72 most parsimonious trees with its lengths of 66 steps. The topology obtained from the analysis showed two major lineages. Subgenus Cyclobalanopsis formed one clade by 75% and subgenus Quercus formed another clade by 57% bootstrap value. Based on the cuticle morphology, the two subgenus delimitation of Camus was supported. However, sect. Erythrobalanus and sect. Cerris formed one group, and sect. Lepidobalanus formed polytom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