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형태학적 형질에 의한 까치수염속(Lysimachia) Spicatae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Lysimachia sect. Spicatae (Primulace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 0
커버이미지 없음

까치수염속 Spicatae절에 포함되는 3종 14집단 34개체의 형태형질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수리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본 절의 각 종에 대한 중요형질 및 변이의 한계를 파악하고 종집단간의 유연관계를 고찰하였다. 정량형질보다는 정성형질인 서식지와 엽선 그리고 잎, 탁엽, 줄기 및 포에 존재하는 털의 유무, 줄기의 가지 여부, 화축과 소화경에 존재하는 털의 종류 및 화서의 형태 등이 종 동정에 유용한 식별형질로 밝혀졌다. 또한, 정성형질의 검토에 의하여 큰까치수염과 까치수염이 진퍼리까치수염에 비해 유연관계가 더 밀접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를 근거로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The gener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Lysimchia sect. Spicatae were reviewed. From the results, nume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34 morphological characters from 14 populations of three species in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key characters among the treated taxa and taxonomic delimitation and to discuss the systematic relationship. Habitat, leaf apices, presence or absent of hair on leaves, stipules, stems and bracts, branch of stems, kind of hair on floral axis and pedicels, shape of florescens were important diagnostic characters to identify the species. The relationship between Lysimachia clethoides and L. barystachys was more close than that of L. fortunei based on the quantitative characters. Also, a new key was made up from the resul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