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개체군의 ITS 염기서열 변이 분석
ITS Sequence Variations in Populations of Ilex cornuta (Aquifoliaceae)
- 한국식물분류학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Vol.37 No.2
-
2007.01131 - 141 (11 pages)
- 0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호랑가시나무의 개체군 및 개체간의 유전적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해 10개체군 65개체를 대상으로 nuclear ribosomal DNA 중 ITS 지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호랑가시나무의 ITS1의 길이는 253 - 259 bp, 5.8S는 159 bp, ITS2는 231bp로 관찰되었다. 또한 65개체의 호랑가시나무로부터 총 8개의 서로 다른 ITS 유형[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haplotype]이 발견되었으며 유형 간에는 1bp에서 6bp까지 차이를 보였다. ITS 지역의 SNP는 총 9개 위치에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남제주군 대정읍에서 채집된 4개의 개체들은 모두 다른 유형으로 관찰되었으며, 전라남도 나주시와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채집된 개체들은 모두 같은 유형으로 나타나 ITS 지역의 다양성은 제주도 개체군이 육지 개체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호랑가시나무 개체 및 개체군에 대한 ITS 염기서열 분석 결과 다양한 ITS 유형이 나타났으며 이는 호랑가시나무의 유전적 다양성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파괴되어 가고 있는 호랑가시나무 서식지 보전의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Genetic variation of Ilex cornuta Lindley et Paxton was examined by sequence analyses of ITS for 65 individuals from Korea and China. The length of ITS 1 ranged from 253 to 259 bp. The 5.8S was 159 bp and ITS2 was observed to be 231 bp. A total of 8 different ITS type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haplotypes), which showed the difference of 1 - 6 bp, were detected from 65 individuals. The sequence polymorphisms of ITS appeared at 9 different sites. All of four individuals collected at Daejeong-eup in Jeju-do exhibited different types, but all individuals from Naju-si and Muan-gun in Jeollanam-do were identical. The variation of ITS was higher in Jeju-do population than in inland population. Since I. cornuta contains various types of ITS sequences, ITS analyses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genetic diversity and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