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한국산 참나무속 참나무아속(너도밤나무과)의 수리분류학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Quercus L. subgenus Quercus (Fagaceae) in Korea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참나무속 참나무아속(Quercus subgen. Quercus) 6종 및 종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을 대상으로 잎, 동아, 소지, 견과, 각두 및 포린의 형태 및 크기에 관한 40개의 형질들을 측정, 수리분류학적 분석(주성분분석)을 수행하여 주요 형태 형질의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한국산 참나무아속 분류군들의 실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아속 한국산 개체들은 크게, 1) Q. acutissima-Q. variabilis, 2) Q. dentata, 3) Q. aliena, 4) Q. mongolica, 그리고 5) Q. serrata 개체들로 구성된 5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종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은 대부분 추정 부모종의 중간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성분분석에서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면서 약하게 구분되는 Q. acutissima와 Q. variabilis는 잎 하면 털의 종류 및 분포 양상에 의해 뚜렷이 식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형태 형질의 경우, 잎의 형태, 엽신의 길이와 폭, 거치의 크기와 형태, 소지의 직경, 견과의 길이와 폭의 비, 포린의 길이와 폭 등이 참나무아속 한국산 분류군들을 구분하고 잡종 형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Morphological variation of Quercus L. subgen. Quercus in Korea was examined by numerical methods includ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of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five major species groups of the subgen. Quercus in Korea; these include 1) a group consisiting of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individuals, 2) Q. dentata, 3) Q. aliena, 4) Q. mongolica, and 5) Q. serrata. The putative interspecific hybrid individuals occupied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putative parent species in the PCA plot. The analysis also strongly suggested that size and shape of leaf blade and teeth or lobes, twig diameter, size and shape of nuts, and length and width of scales are very useful in distinguishing the species and the putative hybrids of the subgen. Quercu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