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APG 분류체계에 따른 한국 관속식물상의 계통학적 분류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Korean vascular flora according to the recent APG classification system

  • 3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 출판된 영문판 한국속식물지에서 다루어진 한국의 관속식물 217과 1,044속 3,209종 (종내 분류군 포함)을 최근의 APG 분류체계에 따라 재분류한 결과 64목 204과 1,044속 3,209종으로 평가되었다. 과의 한계에 대한 변화로 인하여 속식물지의 22개 과가 다른 근연 과로 통합되어 없어졌고, 1개 과는 전위에 따라 과명이 바뀌었다. 또한, 31속 109종으로 기록된 백합과(Liliaceae)는 최근 단자엽식물 분류체계가 크게 바뀐 APG 분류체계에 따라 재배열한 결과 백합목(Liliales), 비짜루목(Asparagales), 택사목(Alismatales), 마목(Dioscoreales) 등 4목 10과로 분산 분류되었다. 그 결과, 한국속식물지의 과의 수는 13개 감소하여 204개 과로 재분류되었다. 조사 결과는 목 이상의 비공식적 상위분류군, 목, 과, 속의 분류체계를 종합하여 3개의 표와 두 개의 그림으로 정리하였다. 이 자료는 국립생물자원관이 최근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식물종의 계통연구를 수행하는데 분석 기본단위를 설정하는 기본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나아가 우리나라 식물 종들의 과 이상에서의 계통유연관계를 손쉽게 비교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견된다.

A recently published Korean Flora,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GFK)", includes the descriptions and keys for 217 families, 1,044 genera, and 3,209 species of Korean vascular plants. We reclassified these taxa according to the recent APG classification system, which resulted in 64 orders, 204 families, 1,044 genera and 3,209 species. Twenty-two families from the GFK were abandoned because of changes to the familial delimitations in the APG system. In contrast, the number of families in the Liliaceous group was increased. The Liliaceae in the GFK included 31 genera and 109 species. These taxa are now assigned to 10 families in four different orders including Liliales, Asparagales, Alismatales, and Dioscoreales because of the drastic changes to the monocot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past 20 years. In addition, the family name of the Aucubaceae was changed to Garryaceae. As a result, the number of families in the GFK has been reduced to 204.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 four tables and two figures at the levels of unofficial higher taxonomic hierarchies, orders, families and genera. This new information can provide a guidelines for selecting the phylogenetic analysis unit for the Korean tree of life (KTOL) project. Futhermore, the updated classification system also provides an important summarization for the systematic community for placing the Korean flora in a modern phylogenetic contex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