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자리공(Phytolacca insularis, 자리공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Phytolacca insularis (Phytolaccaceae)
- 한국식물분류학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Vol.37 No.4
-
2007.01431 - 446 (16 pages)
- 0
섬자리공(Phytolacca insularis Nakai)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기 위해 외부형태와 종자 및 화분의 형태를 관찰하고 ITS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섬자리공은 곧게 서는 줄기와 화서, 이생심피, 8개의 수술과 암술, 분홍색의 약을 가져 자리공과 유사성을 가졌으나, 합생심피와 l0개의 수술과 암술을 가진 미국자리공과는 뚜렷이 구별되었다. 섬자리공의 화분은 유공의 크기가 작고 유공의 수와 미세미립돌기의 수가 적어 자리공과 유사성을 보였으나, 미국자리공은 유공의 크기가 크고 그 수가 많았다. 섬자리공과 자리공의 종자무늬는 불규칙한 굴곡무늬로 서로 비슷했으나, 망상무늬를 갖는 미국자리공과 뚜렷이 구별되었다. ITS 염기서열은 섬자리공이 자리공과 완전히 같았으나, 미국자리공과는 뚜렷이 구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섬자리공을 별개의 종으로 취급하는 것보다는 자리공의 품종으로 격하하는 것이 타당함을 지지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axonomical position of Phytolacca insularis Nakai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ITS sequences. Phytolacca insularis was similar to P. acinosa in the stem shape, inflorescence, apocarpous, eight pistils, eight stamens, pink anther, and eight fruits. But the unique difference between P. insularis and P. acinosa was leaf size and pistil color. Phytolaccri insularis and P. acinosa have a similar sculpturing patterns as an foveolate and microscabrate in pollen, but they differed from P. americana in having a bigger foveolae size in sculpture pattern. Phytolacca insularis and P. acinosa were similar in the seed size but different from P. americana by having a small size of seed. The seed surface of P. insularis and P. acinosa was similar with a irregularly undulate shape, but its feature of P. americana differed in having the reticulate shape. Phytolacc a insularis had identical ITS sequences with P. acinosa. Phytolacca insularis and P. acinosa have a close relationship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ITS sequences. The examinations of morphology and ITS sequences suggest that P. insularis be a form of P. acinosa although it has been formerly treated as a distinct speci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