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고유종 큰꽃땅비싸리의 배수성과 종분화
Polyploidy and speciation in Korean endemic species of Indigofera grandiflora (Leguminosae)
- 한국식물분류학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Vol.35 No.2
-
2005.0199 - 114 (16 pages)
- 0
한국산 땅비싸리속 식물의 종분화를 연구하기위해 염색체수, 형태적변이 및 RAPD분석을 실시하였다. 땅비싸리(2n=16) 와 좀땅비싸리(2n=32)의 염색체수는 기존의 보고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큰꽃땅비싸리의 4배체(2n=32)와 6배체(2n=48)집단이 새로 조사되었다. 큰꽃땅비싸리는 가야산 부근에서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와 함께 자라고 있었다. 큰꽃땅비싸리는 이들 두 종에 비해 식물체 높이, 잎 및 꽃이 더 크며, 땅비싸리 근연종에서 중요한 분류형질인 잎과 꽃의 털에서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의 중간 형태를 보이고 있다. RAPD분석에서 큰꽃땅비싸리는 좀땅비싸리와 더 유사하였으나, 4배체와 6배체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반도 고유종인 큰꽃땅비싸리가 공동분포지인 가야산 지역에서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 사이의 잡종현상과 함께 배수체현상에 의해 기원된 것으로 사료된다.
Chromosome number, morphological variation and RAPD analysis were investigated to study on the speciation of Indigofera in Korea. Chromosome numbers of I. kirilowii (2n=16) and I. koreana (2n=32)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ports. In this study tetraploid (2n=32) and hexaploid (2n=48) of I. grandiflora are newly observed. Indigofera grandiflora is distributed around Mt. Kaya area together with I. kirilowii and I. koreana. The former species has the larger sizes in plant height, leaves and flowers than the latter two and shows intermediate form between the two species in hairs on leaves and flowers which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xonomic characters in this group. In the RAPD analysis, I. grandiflora is similar to I. koreana than I. kirilowii but RAPD band patterns revealed difference between tetra- and hexaploid of the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Korean endemic species of I. grandiflora (2n=16, 32, 48) might has multiple origin through polyploidization and/or hybridization between I. kirilowii (2n=16) and I. koreana (2n=32) around Mt. Kaya area where the latter two grow togethe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