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흡충류 항원으로 감작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의 Nitrite, TNF-<TEX>$alpha$</TEX> 및 IFN-<TEX>${gamma}$</TEX> 생성

In vitor induction Pattern of Nitrite, TNF-$alpha$ and IFN - ${gamma}$ from Mouse Macrophage Activated with Trematodes Antigens

  • 0
커버이미지 없음

기생충감영시 cytokine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방어기전의 Effector cell로 작용할 때 분비하는 nitric oxide의 양 및 TNF-$alpha$ 와 IFN-$gamma$의 분비정도와 nitric oxide와의 상관관계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3종의 흡충류, Fasciola, paragonimus, Schistosma의 조항원 (100mg/ml)을 마우스 복강내에 주사  후 24시간, 72시간, 9일간격으로 마우스의 대식세포(1X10$^{6}$/ml)를 분리하여 RPMI 배지 (10% FCS 첨가)에서 48시간 배양후 Nitric TNF-$alpha$ 및 IFN-$gamma$를 ELISA로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Nitrite 생성정도는 Fasciola 조항원으로 24시간 감작시킨 대식세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40$mu$M/ml) Paragonimus 항원군에서는 24시간에 최고치에 달하였다가(34 $mu$M/ml)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IFN-$gamma$는 Paragonimus 항원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9일경에 최고치를 보였다(475ng/ml). TNF-$alpha$는 Schistosoma 항원군에서는 nitric oxide의 생성과 분비 양상이 일치하였다. 위의 결과에 의하면, 흡충류항원으로 감작된 마우스 대식세포의 nitric oxide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cytokine의 종류는 흥충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이 중 Paragonimus 항원에 의해서는 IFN-$gamma$의 분비가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Schistosoma 의 경우에는 TNF-$alpha$가 nitric oxide의 생성에 관계함을 알 수 있었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