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털보톡토기상과 (톡토기목, 곤충강)의 계통과 종분화
Phylogeny and Speciation of Entomobryoidea (Collembola, Insecta) from Korea
- 한국동물분류학회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Vol.12 No.2
-
1996.01121 - 136 (16 pages)
- 19
톡토기목 가운데 털보톡토기상과에 속하는 3개 과의 종들간의 유연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과에 속하는 3종 및 인접 상과에 속하는 3과 4종에 대해 유전자분석을 실시하 였다. 이를 위해서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대립유전자빈도를 구한 후 유전적차이치(D)를 이용 하여 UPGMA 방법으로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분절아목 중 털보톡토기상과에 속하는 마디톡토기과, 털보톡토기과 및 가시톡토기과의 종들이 함께 유집되었고, 인접상과인 보라톡토기과, 어리톡토기과 및 혹무늬톡토기과의 종들이 함께 유집되었다. 한편 가시톡토기 과의 종은 털보톡토기과의 종과 그리고 혹무늬톡토기과의 종은 보라톡토기과의 종과 가깝게 유집이 되기는 하나, 이들 종간의 유전적 차이값이 매우 높아 일부 학자의 견해대로 한 과 에 속하는 두 아과로 놓기보다는 별개의 과로 두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아울러 굴 톡토기는 어리톡토기과와 유집되기는 하나 유전적차이가 크므로 독립된 과로서의 성격이 인 정된다. 이 결과는 형태형질 및 18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와도 대체로 일치하였다.
In order to understand affinities and phylogeny of three families of the Superfamily Entomobryoidea allozym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ree species presumably representing each family, in addition to four species belonging to the neighboring Superfamily Poduroidea together. Electrophoresis for this purpose produced data for calculating allele frequency and enabled to obtain genetic distance and to depict dendrograms as well. The species of Isotomidae, Entomobryidae and Tomoceridae were clustered together whereas those of Hypogastruridae, Onychiuridae and Neanuridae were grouped as monophylies, respectively. Even though Tomoceridae and Entomobryidae were brought together they are considered complete families by showing high genetic distance value between them, thus supporting the hypothesis on their affinity among others. Gulgastrura reticulosa has been revealed to be separated from Hypogastruridae by being clustered rather with Onychiuridae. However, its high genetic distance value suggests the status as an independent family. The present result agreed with the phylogeny of Suborder Arthropleona divided into two Superfamilies mentioned above as in conventional systematics and also when compared with analysis of data of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as well as 18S rDNA performed and published elsewhere by the present writer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