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도농복합도시 W시 노인대학생의 구강건강생활 실천도와 구강불편감과의 관련성

Relevance between oral health life practices and oral discomforts in elderly school participants in W urban-rural complex city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도농복합지역 복지센터 노인들을 대상으로 구강불편감과 구강건강생활 실천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계속구강건강생활습관이 있는 대상자는 정기구강검진과 스켈링, 식사 후와 잠자기 전에 칫솔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경우 음주와 관련이 있었으며, 치료 후에는 절주를 하게 되고, 저작이나 식사 불편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취발생은 사회적 불편감과 관련이 있었으며, 발음불편감은 미각이나, 동통, 저작불편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노인들의 구강불편감은 교육수준과는 차이가 없었으나, 흡연, 저작불편감, 구취불편감 등이 사회적 불편감과 관련이 있었다(P>.05). 결과적으로 노인들의 구강불편감은 사회적불편감을 발생시켜 삶의 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계속구강건강관리를 실시하여 노년기의 삶을 행복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구강보건 팀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evance between oral health practices and oral discomforts of the elderly in an urban-rural area by surveying the elderly in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continued oral health care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the elderly brush their teeth under regular oral care, and practice oral health life by scaling for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Most of the elderly who drink alcohol have experienced implant care and tend to quit drinking after the treatment, and seemed to get their oral discomfort relieved. However, no relevance is found between implant experiences and social discomfort. Furthermore, the elderly who had bad breath expressed pronunciation, taste, pain and chewing discomfort, and social discomfort (P>.05).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elderly did not have an impact on oral discomfort, but smoking, chewing and bad breath discomfort seemed to be related to social discomfort(P>.05). Therefore, since oral discomfort of the elderly causes social discomfort which decreases their quality of living, we recommend oral health departments of local governments to help the elderly maintain happy lives by continuing to study the practical use of reducing oral discomfor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