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오감자극 원예요법이 우울증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심박동변이(HRV)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ive Sensory Horticulture Therapy on Perceived Str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Adults with depression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우울증환자를 대상으로 오감자극 원예요법을 제공하고 스트레스와 심박동변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 지역 소재 1개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성인 우울증환자 26명(실험군=13명, 대조군=13명)이다. 실험군은 8주 1회 총 8회기의 오감자극 원예요법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프로그램 종료 후 원하는 대상자에게 원예요법을 1회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t-test,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t = 3.11, p = .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박동변이 중 Low Frequency(t = -3.39, p = .002), Standard Deviation Normal to Normal(t = -2.48, p = .02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오감자극 원예요법이 우울증환자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ive-sensory horticulture therapy on perceived stress and HRV in adults with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26 (experimental group=13, control group=13) adult with depression and enrolled in the Regional 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from April to June 2018.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total of 8-session five sensory horticultural therapy once a week, and the control group provided horticultural therapy once to the desired subjects after the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perceived stress (t = 3.11, p = .005), LF (t = -3.39, p = .002) and SDNN (t = -2.48, p = .025)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therapy was effective for reduction of stress among individuals with the depressive disorde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