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일터 내 자기주도학습과 한국의 노동교육: 노동조합교육 법제화에 대한 함의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Workplace and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Legislation on Trade Union Education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을 탐색하고 한국의 노동교육을 고찰하여, 노동조합교육 법제화에 관한 주요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한국의 노동교육과 이와 관련된 법제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이 면밀하게 분석되었는데 이는 인적자원개발뿐만 아니라 성인교육 및 평생학습의 관점에서도 함께 이루어졌다. 세 번째로 이와 같은 종합적인 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이 근로자 주도의 노동교육에 가지는 시사점을 한국의 노동조합교육 법제화라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러한 국가 차원에서의 법제화가 이루어질 경우 산업민주화를 위한 자기주도학습의 맥락에서 근로자의 노동조합교육 참여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의 노동조합교육은 적절한 법적,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제공받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lf-directed learning (SDL) in the workplace and to examine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in order to draw the critical implications for legislation on trade union education (TUE). First,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its legal system were reviewed in a detailed way. Second, SDL in the workplace was closel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not only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but also adult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review, the implications of SDL in the workplace for worker-initiated labor education were discussed in terms of legislation on TUE in South Korea. Since legislation at the national level can promote workers' participation in TUE in the context of SDL for industrial democracy, TUE in South Korea should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legislativ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