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분야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폐기학습의 매개효과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on Employees' Creativity in IT field: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reative Self-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Unlearning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20 No.3
-
2020.01400 - 423 (24 pages)
- 0
최근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디지털 신기술을 기업에 적용시켜 조직의 혁신을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점에서 IT분야 종사자들의 창의성 발현은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절실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IT분야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구성원의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폐기학습의 매개효과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의 IT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최종 분석에 총 439부를 SPSS 25.0과 AMOS 25.0을 사용해 확인적요인분석을, SPSS Process Macro 3.0을 사용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리자의 코칭행동은 구성원의 창의성과 폐기학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학습은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폐기학습은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구성원의 창의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폐기학습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IT분야 구성원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고 간접적인 영향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시대적 요구차원에서 코칭 효과에 대한 연구 영역확장과 영향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의미가 있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workers' use of creativity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workers' in other fields in that they should apply new digital technologies to their companies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on the creativity of employees in the IT field and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unlearn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reative self-efficacy. A survey was conducted on IT worker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43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SPSS 25.0 and AMOS 25.0 and for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on SPSS Process Macro 3.0. The results suggested that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ity and unlearning ability of employees. They also showed that unlearn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ne's creativit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and the creativity of employees. Also, they identified that creative self-effic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and unlearning.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makes a timely contribution to expand the research area for coaching effect and identifies the influential mechanism behind managerial coaching by verifying the direct effects of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on the creativity of the IT sector workers and finding indirect influential factor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