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피로감과 중단: 문화와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Social Networking Service Fatigue and Cessation: Focusing on Cultural and Gender Differences

  • 3
커버이미지 없음

소셜네트워크 시스템(SNS)은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동시에 주고 있으며, 사람들의 생활과 뗄 수 없는 존재가 된 지 오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권 남녀들의 SNS 피로감을 분석함과 동시에 그러한 피로감이 SNS를 중단하려는 의도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도 알아봤다. 연구결과, (a) 여성들이 SNS 활동으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과 평판 걱정, (b) 동양 문화권의 참여자들은 관계 부담, (c) 서양 문화권의 참여자들은 사생활 염려에 관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SNS 피로감과 중단 의도는 통계적인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이는 사람들이 피로감을 느낌에도 불구하고 SNS를 중단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에서 문화와 성별이 SNS에 대한 사람들의 피로감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으며, 피로감에도 불구하고 일부의 사람들만이 SNS를 중단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is a part of our daily lives, with their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This study investigates SNS fatigue in men and women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fatigue and the intentions to cease SNS activitie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during SNS activities, women are more concerned for their reputation; participants with East Asian cultural backgrounds experience burdens with respect to relationships, and participants with Western cultural backgrounds experience fatigue with respect to privacy concern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identified between SNS fatigue and the intentions to cease SNS activity; although people experienced fatigue, they did not desire to stop SNS use. This study reveals that culture and gender impacts SNS fatigue, and few people quit SNS despite the fatigu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