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2016 서울 국제 휠체어 마라톤 경기대회에 참가한 국내 선수의 구간 및 기록변화 분석

Analysis of race time between Korean athletes participating in 2016 Seoul International Wheelchair Marathon

  • 0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의 목적은 휠체어 마라톤의 구간별 기록의 차이를 규명하고 훈련에 필요한 정보와 훈련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6년 서울 국제 휠체어 마라톤대회에 참가자 중 42.195km의 풀코스를 완주하여 우승한 외국 남자선수 1명과 국내 상위선수 4명, 총 5명의 기록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매 5km에 해당하는 구간기록과 완주기록을 사용하였으며 제1구간부터 제9구간으로 설정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우승한 W1 선수의 경우 30km에서 35km지점에서 기록은 전체 구간에서 가장 빠른 8분 43초의 기록을 나타냈으며, 국내 1위 선수의 K1 선수보다 1분 4초의 기록 차이를 보였다. 국제 대회에서 상위 입상하기 위해서는 후반 이후 지점에서 빠른 페이스에 적응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즉, 하프 거리를 기준으로 후반 페이스가 빨라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반 하프의 각각의 구간에서 개인 구간별 평균 속도의 수준에 맞는 레이스 페이스를 전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초반 레이스를 유지 할 수 있는 체력 훈련 프로그램과 후반 이후의 페이스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records for each section of the wheelchair marathon and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raining and basic data for developing train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for the records of a total of 5 foreign male athletes and 4 domestic top athletes who completed the 42.195km full course among the participants at the 2016 Seoul International Wheelchair Marathon. Every 5km section records and finish records were used, and the first section to the ninth section were set. As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D) were us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In the case of the winning W1 athletes, the record at 30km to 35km was the fastest 8 minutes and 43 seconds in the entire section, and the difference was 1 minute and 4 seconds compared to the K1 athletes of the nation's No. 1 athletes. In order to be ranked higher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training to adapt to a quick pace at a later stage is required. That is, it was found that the second half face should be faster based on the half distance. In addition, in each section of the first half,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ace pace suitable for the average speed level for each individual sec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fitness training program that can maintain the early race and the training program that can cope with changes in pace after the second half should be applie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