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도와 시계열 공간정보를 활용한 문화재 리질리언스에 대한 연구
Resilience of Cultural Heritage by Integrating Historic Maps and Geospatial Information
- 대한토목학회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Vol.39 No.6
-
2019.01945 - 954 (10 pages)
- 0
문화재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시켜주는 값진 자산으로 최근 재난위험경감이라는 국제적인 의제에 있어서 문화유산이 포함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재의 리질리언스 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리질리언스 구축에 있어서 공간정보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도와 시계열 공간정보와 연계를 통해 문화재에 내포되어 있는 리질리언스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공주지역에 위치한 문화재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항공영상과 구지형도의 시계열 영상을 대상으로 지오레퍼런싱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화재 및 주변지역에 대한 변화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강 하구둑 및 보의 설치로 인해 강폭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문화재 주변지역이 도시화로 인해 상당 부분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문화재 및 유적은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현재까지 잘 보존되어 온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도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문화재 리질리언스를 추출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지리지 등 역사기록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화재 리질리언스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ultural property is a valuable asset that connects the past with the present, and cultural heritage is now included in the international agenda of disaster risk reduction.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building resilience of cultural assets has been on the rise, and the necessity of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emphasized in building resil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studying the resilience contained in cultural assets through linkage with historical map and time series spatial information is proposed and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applied to cultural assets located in Gongju area. Georeferencing was performed on time-series images of aerial images and topographical map, and the changes in cultural assets and surrounding areas were found. The width of the river has chang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Keum River Estuary Dam and the dammed pool for irrigation. Nevertheless, the main cultural assets and monuments are located in the high-altitude area and thus have been well preserved. In this study, cultural property resilience was extracted using only map data and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o extract cultural property resilience through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such as geograph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