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시간 사용과 삶의 질의 관계 : 보건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d Time Usage and Quality of Life for University Students : Centered on Health-related University Students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Vol.9 No.3
-
2019.0131 - 39 (9 pages)
- 0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 관리에 대해 파악하여 클라이언트의 기능적 향상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을 포함한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시간 관리 방법을 계획 및 교육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시간 사용과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설문지법을 이용한 조사연구이다. 일반적 특성, 구조화된 시간 사용 설문지(time structure questionnaire)와 세계보건기구에서 개발한 삶의 질 단축형(WHOQOL-BREF)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결측값이 있는 설문지 8부를 제외한 총 142부를 수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삶의 질과 구조화된 시간 관리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구조화된 시간 관리의 하위 항목인 목적의식, 구조화된 일상, 지속, 과거방향, 수면정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면정도(β=.214), 구조화된 일상(β=.203), 목적의식(β=.343), 과거방향(β=.244)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결론적으로 구조화된 시간 내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대학생의 경우 만족스러운 삶의 질을 보이기에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삶의 질 저하의 요인은 구조화된 일상, 목적 의식, 과거 방향, 그리고 수면 정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ime management among college students and provide them with a basic resource for planning and educating them on efficient time management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ll clients who receive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including non-disabled people. Methods : This study is a survey of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questionnaire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d time usage and quality of life. A total of 142 questions, excluding eight missing questionnaires,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us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ime structure questionnaires (time structure questionnaire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structured time management, and between the sub-items of structured time management; sense of purpose, structured daily life, persistence, past direction and sleep intensity. Also,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were sleep (β=.214), structured daily life (β=.203), a sense of purpose(β=.343), and past direction(β=.244) appeared in order. Conclusion : In the case of university student who is working within structured time, there were difficulties in showing satisfactory quality of life. These factors of poor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to affect structured daily life, sense of purpose, past direction, and sleep level.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