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정보약자를 고려한 스마트시티 구성요소 도출 - 고령자를 대상으로 -

  • 5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함께 도시문제 해결방안으로 스마트시티가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관광, 산업, 특정 고급 주거단지로만 조성이 되고 있으며 정작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아야 할 노인이나 장애인 등 정보약자들은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 적합한 스마트시티 개념을 정립하고, 정보약자를 고려한 스마트시티의 전문가 관점과 실제 정보약자 관점에서의 물리적 비물리적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정보약자를 고려한 스마트시티는 물리적인 요소뿐만이 아닌 비물리적 구성요소도 중요하다는 결론과 전문가와 실제 정보약자의 우선요소의 차이점을 도출하였으며, 정보약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개발 발전될 수 있는 정보약자를 고려한 스마트시티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Korea has been attracting the attention of smart city as a solution to urban problems along with the era of Fo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ourism, industry, and specific high-class residential complexes are being formed, and the disabled with information such as the elderly and disabled who can actually get help are not experienced.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smart city suitable for domestic and derives the priority of physical and non-physical elements of smart city considering information weakness. Smart City considering disabled with information has concluded that not only physical elements but also non-physical components are important, and deriv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ts and the priorities of actual information weak people. We will propose a smart city development direction that takes into account information weak people that can be developed and advance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information weak peopl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