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교통약자의 공공시설 접근성에 따른 보행안전 만족도 연구

A Study on Walking Safety Satisfaction according to Vulnerable Pedestrians' Access to Public Facilities

  • 9
커버이미지 없음

앞으로 교통약자의 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노인,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들의 보행안전만족도에 보행자의 개인 및 가구특성과 공공시설 접근성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교통약자의 보행안전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포용적 도시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보행안전만족도에는 연령, 성별 변수가 중요하였으며, 장애인의 보행안전만족도에는 학력이 중요한 요소였다. 노인과 장애인 모두 1인가구일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광역시가 아닌 지역에 거주할수록 보행안전만족도가 증가하였다. 공공시설 접근성의 경우 공공기관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도시공원 및 녹지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대중교통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노인과 장애인의 보행안전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노인은 상업시설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보행안전만족도가 높아졌으나, 의료시설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오히려 보행만족도는 낮아졌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pedestrians' perso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accessibility to public facilities on a walking safety satisfaction (WSS) level. The aim is to find ways to improve vulnerable pedestrians' WSS level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inclusive urban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ge and gender variables were important for elderly people, and educ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for disabled people. The WSS level was impacted by the facto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ome, and residential areas. In the case of accessibility to public facilities, the greater the satisfaction with accessibility to public institutions, urban parks and green areas, and public transport, the greater the WS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nd, the greater the satisfaction with accessibility to commercial facilities, the greater the WSS was for the elderly's WSS. However, the satisfaction with access to medical facilities was the opposite in the case of the elderl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