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Intention to Drop out
- 대한산업경영학회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Vol.19 No.1
-
2021.01117 - 127 (11 pages)
- 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K도에 소재한 일개 간호학과 재학생 363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2020년 11월 9일부터 27일까지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과 중도탈락의도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4.32점,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3.66점, 학습민첩성은 3.40점, 중도탈락의도는 2.08점이었다. 중도탈락의도는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 전공만족도, 정신적 건강상태, 성적, 학년이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0.4%였다. 이에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중도탈락의도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중요 변수들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대학과 학과 차원의 인프라를 마련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gility on intention of academic dropout among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surveys from November 9 to 27, 2020. The 363 students were conveniently sampled from the school of nursing in K-do in Korea. The contents of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ed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agility, intention of academic dropout. As a result, The score of each variables were like this: social support 4.32, academic self-efficacy 3.66, learning agility 3.40, intention of academic dropout 2.08. The factors that affecting intention of academic dropout among nursing students are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agility, satisfaction on major, perceived mental health status, grade in score and grade, which explained 30.4% of the variances.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intention of dropping out of nursing students,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of programs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ystematic support are necessar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