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학습자의 중간 언어 단어 수준 강세 비교
Comparison of Word Level Stress Features between Korean, English and the Interlanguage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20 No.11
-
2020.01378 - 390 (13 pages)
- 0
영어 강세는 발화된 영어 단어를 이해하는 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잘못된 강세의 위치는 의사소통의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강세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한국어를 모국어로 둔 영어 학습자는 영어 운율체계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가 단어 수준에서 이러한 강세를 실현하는 것이 영어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중간언어가 이 두 언어와 어떻게 다른지 연구하였다. 다음 절로 이루어진 4개의 영어 외래어와 그들의 영어 원어 4개가 실험단어로 사용되었다. 10명의 영어 원어민이 영어 원어를 읽었으며 10명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먼저 영어 외래어를 한국어로 그리고 나중에는 영어 원어를 영어로 읽었다. 120개의 발화 샘플을 분석한 결과 한국어에는 모든 강세 자질로 (즉, 조음 길이, 조음 크기, 조음의 높이) 실현되는 두드러진 음절이 없었다. 반면에 영어는 모든 강세 자질에 의해 일관되게 실현되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진 음절을 가지고 있었다. 흥미롭게도 영어 강세 실현에 있어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중간언어는 모국어보다도 영어와 비슷한 특징을 보여 주었다.
English stress plays such a critical role in understanding spoken English words that its misplacement can lead to a breakdown of communication. Korean learners of English, whose native language is known to lack this feature, are expected to have some difficulty acquiring this English prosodic system. This study explored how Korean is different from English in manifesting prominence at the word level and how the interlanguage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is dissimilar to both languages in that regard. Four polysyllabic English loanwords in Korean and their English source words were used as stimuli. Ten native English speakers read the English source words while ten Korean learners of English read the English loan words first and then the English source words. The analysis of 120 speech samples revealed that Korean words did not have any salient syllable realized by all stress features: duration, amplitude, and F0. On the contrary, English words had syllables with relative prominence, which was consistently manifested by all the features. Interestingly, in realizing English stress, the interlanguage of the Korean English learners bore more resemblance to that of English than that of their native languag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