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계획법을 활용한 방재자원 배치 최적화: AED 배치 사례
Mathematical Programming and Optimizat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and Deployment for Disaster Response : AED case study
- 한국가스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Vol.25 No.3
-
2021.0153 - 58 (6 pages)
- 0
노년층뿐만 아니라 청년층에 속하는 성인들 사이에서도 병원 외 심장정지(OHCA)를 겪는 심장질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자동심장충격기(AED)는 병원 외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하는 데 있어 긴요하다. 심장정지 생존율은 제세동 시간에 대하여 지수적으로 감소(decline exponentially)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자동심장충격기의 최적 배치에 있어 심장정지 생존율의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국내 연구가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최적 입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exponential decay coverage 함수를 갖는 최대 gradual coverage 입지 모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exponential decay coverage 함수는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에 대한 과다추정을 완화한다. 향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랜덤한 행인 위치 및 이동을 반영함으로써 행인의 심정지 대응에 있어 창발적인(emergent)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시설 입지 모델이 개발될 것으로 예측된다.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who experience a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are increasing among young adults as well as the aged population.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is vital in improving survival rates of OHCA victims. Survival rates of OHCA were shown to decline exponentially in time to defibrillation, yet studies in Korea are uncommon that captures the properties of their survival rates in examining optimal locations of AEDs. In this study, we worked on the maximal gradual coverage location problem (MGCLP) with exponential decay coverage function to decide on their optimal locations. The exponential decay coverage function mitigates the drawback of over-estimating survival rates of OHCA patients. It is expected that a more sophisticated facility location problem will be developed to identify the "emergent"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s who responds to the OHCA occurrence by incorporating random pedestrian locations and movement through simulat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