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주택 단지 제로 에너지 하우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Zero Energy House Model of Housing Complex

  • 54
커버이미지 없음

지구촌 곳곳에서 기후 온난화로 인하여 엄청난 환경적 재난이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에너지의 주공급원인 화석연료 과다 사용으로 지구 환경변화에 영향을 끼쳐 지구 생태계를 파괴하고 자원을 고갈시키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을 통하여 탄소 배출량을 줄이려는 노력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려는 신기술들이 심심치 않게 보도되고 있다. 제로 에너지 하우스는 고단열재 고기밀성 재료사용으로 저탄소 배출 및 에너지 사용량을 줄어들게 하고 최소한의 요구하는 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공급받아 실거주가 가능한 모델이다. 이를 국내에서도 적용하려 노력 중이나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보편화 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적 요소인 탄소 배출을 제로화 하고, 환기 시스템과 열교환기 및 에너지 저장장치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제로 에너지 하우스의 시공 경제성을 확보하고, 창호 개방/폐쇠에 자동화 시스템을 부착하여 실내 적정온도 유지가 가능한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In many parts of the world, climate warming has caused tremendous environmental disasters to repeat every year. Overuse of fossil fuels, the main source of energy, has affected the global environment, destroying the global ecosystem and depleting resources. To overcome this, efforts to reduce carbon emissi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are being actively studied at home and abroad. Already, new technologies are being reported abroad to reduce carbon emissions. Zero Energy House is a model that reduces low carbon emissions and energy use due to the use of high-density materials for high-heated materials, and can live in real life by receiving the minimum required energy through renewable energy. Although the government is trying to apply this in Korea, it is difficult to become common because of the lack of economic feas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models that can zero carbon emissions, which are eco-friendly elements, secure construction economy of zero energy house by using ventilation system, heat exchanger and energy storage system for public use, and attach automation system to window opening/closing to maintain indoor temperatur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