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권 실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학부모, 교사 등 관계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pport Policy for the Realization of Right to Learn of Youth Migrants in Korea: Focusing on Parents, Teachers and Experts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Vol.7 No.1
-
2021.01533 - 538 (6 pages)
- 3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권 보장과 관련하여 교육 관련 종사자와 학부모의 인식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교육기회와 적응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초기정착, 기본권으로서 사회보장 지원, 학습권 보장, 심리지원의 4개의 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둘째, 학교 부적응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셋째, 개별 맞춤형 지원 제도 수립, 넷째, 정보제공 등 지원 제도의 적극적인 홍보, 마지막,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제도의 다변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erception, which education-related workers and parents have, associated with guaranteeing the right to learn for youth migrants in Korea. The study was especially intended to analyze the opportunities and adaptions of youth migrants and make policy suggestions accordingly. To this purpose, this study implemente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This research yielded four categories: initial settlement, social security support as a fundamental right, learning rights guarantees, and psychological support. Also, seven subcategories were elicited. The suggestions based on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legal basis for learning support for middle-aged adolescents; second, curriculum composition for school maladjusted middle-aged adolescents; third, individualized support system; fourth, the active promotion of support systems such as information provision; fifth, the diversification of policy for psychological stabilit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