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초등학교에서 디지털격차 해소를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quitable Access to Quality Technology Uses in a Low-Resourced Rural Elementary School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21 No.11
-
2021.01224 - 233 (10 pages)
- 3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의 자원과 테크놀로지가 부족한 초등학교 1인 학급 환경에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이 학습의 향상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수업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인과 교사 1인이었으며 교사 및 학생 인터뷰와 교실 수업 관찰, 학생 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원과 테크놀로지가 부족할 뿐 아니라 1인 학급 상황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기존 도구의 창의적 활용과 다양한 온라인 테크놀로지를 활용함으로써, 개별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적응적 학습의 제공, 다른 지역 학생과의 협력학습, 교육과정의 재설계 등 학습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을 통해 디지털격차를 극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원과 예산 부족, 학생 수 경감에 따른 농촌 지역 학교의 위기에서 새로운 대안과 효과적 학습경험 제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ow a teacher used technologies to improve underserved student's learning in a low-resourced rural elementary classroom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s' use of technology. The in-depth case study was conducted in a one-student classroom setting that isolated the fifth grader from social and collaborative learning opportunities. The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in forms of classroom observation field notes, teacher interviews, student interviews and student's reflection journal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partakes an import role in a one-student classroom to support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Second, to overcome a digital divide, the teacher created a technology-enhanced environment with alternative methods of her own and supplemented teacher-created resources. Third, the teacher used technologies to support adaptive instruction based on student's need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