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끄기 호흡운동 프로그램의 시행이 성인의 노력성 호흡량의 기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plementing Candle-Blowing Respiratory Exercise Program on Functional Improvement of Forced Breathing Volume among Adults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Vol.7 No.4
-
2021.01203 - 210 (8 pages)
- 3
본 연구는 노력성 호흡 운동 중심의 촛불끄기 호흡훈련이 성인의 몸통 근력 강화를 의미하는 호흡 능력 향상에 어떤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4주간의 촛불끄기 훈련을 통해 실험 전-후의 노력성폐활량(FVC)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4주간의 촛불 끄기 훈련을 통해 실험 전-후의 1초간 노력성 날숨량(FEV1)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4주간의 촛불 끄기 훈련을 통해 실험 전-후의 최대날숨유속(PEF)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노력성 호흡 운동 중심의 촛불끄기 호흡운동을 실시하여 성인의 몸통 근력 강화를 의미하는 노력성 폐활량(FVC), 1초간 노력성 날숨량(FEV1), 최대날숨유속(PEF) 등의 노력성 호흡훈련과 허파기능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앞으로 물리치료가 꼭 필요한 중증 호흡기계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respiratory training centered at forced breathing exercise of blowing out a candle on the improvement of adults' respiratory ability, which means the increased muscle strength of body trunk. After the four-week candle-blowing breathing training, the forced vital capacity (FVC)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05).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four-week intervention(p>.05). The peak expiratory flow rate (PEF)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four-week blowing-out-the-candle training (p<.05).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ced breathing training and pulmonary function of healthy adults including FVC, FEV1, and PEF, which means the increased muscle strength of body trunk, by implementing blowing-out-the-candle breathing exercise centered at forced respiratory exercise and obtained significant results. Further studies that use a sample of patients with advanced respiratory system disease for whom physical therapy is absolutely necessary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