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질리언스 관점에서의 도시재생사업 진단 - 서울시 일반근린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대상으로 -
Diagnosi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Resilience - Focus on General Neighborhoo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eoul City -
- 대한토목학회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Vol.42 No.1
-
2022.01145 - 150 (6 pages)
-
DOI : 10.12652/Ksce.2022.42.1.0145
- 0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도시의 쇠퇴에 대응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주민주도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불확실한 미래에 대응하여 도시의 회복력을 높이고자 하는 레질리언스의 개념이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레질리언스적 관점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진단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지는 서울시의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 선정지역으로 설정하고, 최근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응하여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재생사업활성화 계획의 내용 중 주민주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사회적 재생 내용이 회복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의 단계에서부터 주민들의 자생력을 제고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면 도시의 회복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is a movement to respond to the decline of the city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residents-led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concept of resilience to increase the resilience of the city in response to an uncertain future is emerging around the world. This study aims to diagnos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rom a resilience perspective. The target site of the study was set as a selection area for general neighborhoo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eoul, and the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in response to the recent coronaviru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ontent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vitalization plan, the social regeneration content that can lead to resi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ilience of the city can be improved if the contents that can enhance the self-sustainability of the residents are included from the stage of the pla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