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원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개발
Tea-Culture Therapy Program Development for Personality Education of Juvenile Reformatory Students
- 한국사물인터넷학회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Vol.7 No.4
-
2021.0159 - 68 (10 pages)
- 3
본 연구는 소년원생들의 재비행 방지와 사회적응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성교육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사회적 개입을 통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 소년원생들의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대인관계 등의 사회적 특성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지 분석하였다. B시 소재 소년원에서 수용생활을 하는 14세에서 17세 사이 소년원생들 10명을 연구대상의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소년원생 사회적 개입 인성교육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10회기 진행하였고, 그 결과 자기효능감은 사전 평균 2.37(SD 0.33), 사후 평균 2.49(SD 0.31)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Z=-5.874, P=.000), 자기통제력은 사전 평균 2.06(SD 0.20), 사후 평균 2.16(SD 0.19)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Z=-4.743, P=.001). 대인관계는 사전 평균 1.90(SD 0.32), 사후 평균 2.15(SD 0.21)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5.892, P=.000). 이상의 결과들은 본 프로그램이 소년원생들의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대인관계 등의 사회적 특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소년원생 인성교육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향후 교정복지 현장뿐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청소년들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sonality education tea culture therapy program to effectively improve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and social adaptat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a culture therapy program through social intervention, we analyz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self-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juvenile detention studen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en juvenile detention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14 and 17 who were accommodated to a juvenile detention center in B city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study. The tea culture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10 times as a social intervention personality education for juvenile delinquents, and as a result,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re-mean of 2.37 (SD 0.33) and a post-mean of 2.49 (SD 0.31),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Z=-5.874. P=.000), self-contr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pre-mean 2.06 (SD 0.20) and the post-mean of 2.16 (SD 0.19) (Z=-4.743, P=.00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 pre-mean of 1.90 (SD 0.32) and a post-mean of 2.15 (SD 0.21) (Z=-5.892, P=.000).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is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self-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juvenile detention students. Therefore, the tea culture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r personality education for juveniles can be used as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various types of adolescents as well as in the field of correctional welfare in the futur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