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of Elderly in the Era of Convergence
- 한국사물인터넷학회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Vol.7 No.3
-
2021.0123 - 30 (8 pages)
- 0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신뢰, 네트워크, 규범, 참여 등의 융복합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에 경험할 수 있는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02명이다. 분석결과, 노인이 교육수준이 낮고 종교가 없으며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와 규범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우울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노년기 우울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 전체의 네트워크를 활성하고 확대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노인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의 활동공간 확장과 다양한 융복합 컨텐츠의 프로그램 개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include networks, trust, norms, and participation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the era of converg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2 senior citizens aged 65 and over who ar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are follows. Depression was more severe in the elderly with lower level of education, no religion, and lower social capital including networks and norms. In this study, social networks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 to depression. In order to alleviate depression in the elderly through this study, efforts to activate and expand the network of the entire society are require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ctivity space of local community, develop programs for various convergence contents, and expand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in order to vitalize the network of the elderl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