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The Effect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4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국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3개의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1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출간된 문헌을 분석하였다. 총 1,455편의 문헌이 검색되어 총 11편의 문헌을 최종 분석하였다. 문헌의 질 평가는 Risk of bias(RoB)를 사용하였다. 우울증상 평가도구는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분석된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는 요가, 심리사회적 중재, 인지훈련, 건강교육, 다중요소 중재, 게임훈련, 유산소/심폐물리치료, 미술치료, 음악회상 활동, 기억특이성 훈련, 인지자극, 수면교육이 적용되었다. 그 중 요가, 다중요소 중재, 게임훈련이 우울증상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에 대한 중재계획 및 실행에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 review abou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 searched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11 to July 2021 in 3 databases. A total 1,455 studies were found and included 11 studies in final analysis. Methodological quality was assessment with the Cochrane's RoB(risk of bias) tool.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was the most used as the assessment tool for identifying the depressive symptom. Intervention were yoga, psychosocial intervention, cognitive training, health education, multi-component intervention, game training, aerobic/pulmonary physiotherapy, art therapy, music reminiscence activity, memory specificity training,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and SWTW(sleep well, think well) program. Among the intervention programs, yoga, multi-component intervention and game training were effective in improving depressive symptom. This study provided a clinical evidenc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