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의 '입양가족'에 대한 내용분석 - 입양가족의 고정관념과 편견적 서술을 중심으로 -

A Content Analysis of the 'Adopted Family' of Major Textbooks in Child and Family Welfare Studies: With Focus on the Stereotypes of and Prejudiced Descriptions about Adoptive Families

  • 0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 내에서 '입양'과 '입양가족'에 대한 편견적 서술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출간된 아동가족학 전공교재 11권을 표집하여, 집필의 구성과 기술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입양 및 입양가족에 대한 내용에 있어, 최근 변화된 공개입양문화의 특성과 당사자에 대한 종합적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양가족(부모, 아동)과 입양기관 등)에 대한 특성 기술에 있어, 일부 편견적 용어의 사용이 발견되어 이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근 공개입양문화의 양적·질적인 이해와 입양가족의 사회적 편견에 대한 관점 등을 반영하여 입양가족의 이해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아동(권리)학 뿐 만 아니라 가족복지, 건강가정론 등에서 다양한 가족의 유형으로써 입양에 대한 내용을 전공 서적 안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의 주제 구성과 내용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 내용 구성의 개편 등 교재 집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judiced descriptions of adoption and adoptive families in the major textbooks in the field of child and family welfare studi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ompositions and contents of eleven different textbooks and found four necessary changes to recommend: first, we found it essential for authors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adoption culture and adoptive families. Second, we observed the need for the revision of prejudiced terminology found in textbooks' descriptions of adoptive families - about adopters, adoptees, and adoption institutions. Third, we advise an enhancement in the understanding of adoptive families reflect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understandings of the open adoption culture and perspective about social prejudice against adoptive families. Finally, we advocate for the inclusion adoptive families as one of the diverse forms a family can take, not only in the curriculum of child (children's rights) studies but also in the curricula of other family-related disciplines such as family welfare and healthy family theory. Based on these four changes, we propose a new approach to authoring including a multifaceted review of the subject composition and the content of the major textbooks and revision of the overall contents of the textbook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