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루게릭병 환자를 위한 나눔 메시지의 소구유형에 따른 대학생 태도와 행위 의도의 효과 분석

Impacts of Appeal Type o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Responding to Messages for Helping the Patients Suffering from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the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루게릭병 환자와 가족을 돕자고 호소하는 메시지를 대상으로 호혜적/공감적 소구의 상대적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나눔 메시지의 전달에서 이성적으로 호소하는 방식인 호혜적 소구의 적용 범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공감적 관심 성향의 조절작용을 포함하였는데, 공감적 관심은 대표적인 이타적 성향이다. 온라인 실험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1단계에서 공감적 관심 성향을 측정하고, 대략 7일의 시간이 지난 후 2단계에서 호혜적/공감적으로 구분된 나눔 메시지를 보여주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한 참가자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3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감적 소구의 상대적 우위가 일부 나타났지만, 호혜적/공감적 소구의 상대적 차이가 직접 나타난 경우는 주제 태도에 국한되었고, 상호작용의 결과에서 공감적 관심 성향이 높은 집단에서 호혜적 소구가 공감적 소구만큼 혹은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relative effects of reciprocal/empathic type on messages appealing to help patients with Lou Gehrig's disease and their family. By this, we attempted to examine the applicable scope of the reciprocal type, a way of appealing rationally in the delivery of helping messages. The focus was on the moderation of empathic concern trait, a representative altruistic personality. Conducted as the online experiment, empathic concern trait was measured in the first stage, and the helping messages presented each by reciprocal/empathic type were shown and evaluated in the second stage after about 7 days. The data of 134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insincere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relative advantage of empathic type was shown, but it was only limited to the subject attitude. In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the reciprocal type were as much or more influential as the empathic type for the individuals high in empathic concern trai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