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량기반 대학생 또래교수(Peer tutor) 양성교육 지원체제 구축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Establishment a System for a Competency-based Peer Tutor Training Program : Focusing on the case of A University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22 No.10
-
2022.01414 - 425 (12 pages)
-
DOI : 10.5392/JKCA.2022.22.10.414
- 0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또래교수 양성을 위한 체제를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2022년 2월에 걸쳐 약 2년간 실시되었다. 교육과정 및 체제 개발, 운영 및 평가, 수정 및 보완의 절차로 진행되었으며, 심층면담, 설문조사, 문헌조사, 전문가 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면담과 또래교수 역량의 교육요구도 순위를 종합하여 연구진은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과 인증제를 설계하였으며, 개발된 교육과정과 인증제에 대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둘째, 2020년 3월부터 2022년 2월 말까지 또래교수 양성교육 및 인증제를 운영하였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조사 결과, 20년도에는 평균 4.33점, 21년에는 평균 4.61점으로 나타나 양성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과 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peer tutors at A University and to establish a sustainable system. It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operating, evaluating,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curriculum for about two years from January 2019 to February 2022. In-depth interviews, surveys, literature reviews, and expert survey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combining in-depth interviews and ranking of educational needs of peer tutors' competencies, the researchers designed peer tutors training curriculum and certification system, and these were certified by conducting expert surveys. Second, from March 2020 to the end of February 2022, peer tutor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 were operated, and as a result of a satisfaction survey of students, 4.33 points on average in 2020 and 4.61 points on average in 21, indicating high satisfac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establishing peer tutor training programs and system in universiti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