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관련 지식 및 예방적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elated Knowledge & Preventive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일 간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지식 및 예방적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울시 소재 일 간호대학 재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2022년 4월 15일부터 2022년 5월 10일까지 실시하였고, SPSS/WIN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예방적 건강행위는 코로나19 감염관리 교육의 필요성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불안정도는 학년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스트레스는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예방적 건강행위와 지식, 자기효능감,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효능감은 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불안은 지각된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대책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knowledge & preventive health behaviors related to COVID-19, self-efficacy,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of students at a nursing college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3 students at a nursing college in Seoul, Korea, from April 15, 2022 to May 10, 2022 through a Google onlin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5.0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reventive health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COVID-19 infection control education, and self-efficacy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degree of instability of the subjects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perceived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eventive health behavior and knowledge, self-efficacy,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u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programs and countermeasures to prevent COVID-19 infections.

(0)

(0)

로딩중